(이전의 Homebrew 설치해서 Gradle을 설치해야만 한다!!)
1. 정의
JAR(Java archive)는 여러개의 자바 클래스 파일과, 클래스들이 이용하는 관련 리소스 및 메타데이터를 하나의 파일로 모아서 자바 플랫폼에 응용 소프트웨어나 라이브러리를 배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패키지 파일 포맷이다. 실제로 ZIP 파일 포맷으로 이루어진 압출파일로서, 파일 확장자는 .jar이다.
2. 파일만들기
Intellij 하단 부분을 보면 이러한것을 발견할 수가 있다. 여기에서 터미널을 클릭을 한다.
이후 gradle assemble 명령어를 치면 다음과 같은 메세지 화면을 볼 수 가 있다.
.jar 파일이 잘 만들어 졌는지 확인!! Spotlight에서 .jar라고 검색하면 바로 나온다.
music-0.0.1-SNAPSHOT.jar이 만들어 진것을 볼 수있다. 여기서 궁금한것은 과연 저 0.0.1이 뜻하는것이 무엇인가?
0.0.1 의 index를 각각 1 ,2 3이라고 명칭하자
index 1은 메이저 변경사항이 생길때 버전이 올라간다 예를 들어 어떠한 website를 구축하였을때 모든것이 바뀌었다면 index 1의 값이 올라간다.
index 2은 기능업데이트이다 예를 들어 어떠한 홈페이지에서 기능을 추가될 때 버전을 올린다.
index 3은 버그수정 및 자잘한 업데이트를 행할 때 버전이 올라간다.
이렇게 .jar파일을 만든후 우리는 .jar파일을 실행시킬 수 있다.
Terminal에서 .jar파일이 있는 곳으로 이동하여 java -jar ".jar파일 이름"을 적어주면 다음과 같이 실행이 된다.
이 다음으로는 AWS EC2를 사용하여 만들었던 .jar파일을 복사하여 그곳에서 실행을 시킬것이다.
'Spring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력적 IP 설정하기 (0) | 2019.07.25 |
---|---|
AWS & AWS EC2 Instance생성 (0) | 2019.07.25 |
Homebrew 설치 및 gradle설치 (0) | 2019.07.23 |
사용중인 포트 찾아서 Kill하기 (0) | 2019.07.23 |
Spring으로 만드는 간단한 게시판(2) (0) | 2019.07.22 |